본문 바로가기

hida Budhe jāte Sakyamunī250

보석경(보배경)_15번 번역 공부(Sn.236) 2022. 12. 27.
보석경(보배경)_14번 번역 공부(Sn.235) 2022. 12. 26.
두면예족(頭面禮足) : pādesu sirasā nipatati(빠-데-수- 사라사- 니빠따띠) 예불(禮佛)의 예배란 머리를 조아려 인사하는 것을 말한다. 줄여서 예(禮) 혹은 배(拜)라고도 한다. 선가귀감(禪家龜鑑)에서 "예배란 공경이며 굴복이다. 참된 성품을 공경하고 무명(無明)을 굴복시키는 일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51. 禮拜者 敬也 伏也, 恭敬眞性 屈伏無明) 이러한 예배의 방식에는 여러 가지의 구별이 있다. 대지도론(大智度論) 제10에, "하중상(下中上)의 예가 있는데, 하(下)는 읍(揖), 중(中)은 궤(墦), 상(上)은 계수(稽首)이다. 두면예족(頭面禮足)은 으뜸가는 공양이다"라고 했다. 읍(揖)은 손을 모아 허리를 굽히는 정도를 말하는데, 합장이 이에 해당된다. 궤(墦)는 무릎을 끊고 절하는 것[墦拜]인데, 우슬착지(右膝着地)가 이에 해당된다. 계수(稽首)는 머리가 땅에 닿도록 공손.. 2022. 12. 25.
pañcānantariyakamma(빤짜-난따리야깜마) -오역죄(五逆罪) ■ pañcānantariyakamma 정확한 뜻은 죄 보다는 업이다. 무간지옥에 떨어지는 5가지의 큰 죄(업) pañcānantariyakamma [Pañcānantariya = pañcānantaryāṇi (梵pañcānantaryāṇi) : 다섯가지 무간(五無間)] ■ 무간지옥 - avīciniraya(아위-찌니라야) ■ pañcānantariyakamma [pañca+anantariya+kamma] [nt.] 다섯가지 무간업(五無間業), 다섯가지 무간지옥에 가는 업 = pañca kammāni ānantarikāni = Pañcānantariya pañcānantariya:[nt.] the five acts that have immediate retribution ■ Pañcānantariya[a.. 2022. 12. 24.
번역과 문법 분석 완료된 경전 전체 pdf 파일 올림 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 冊子 內容의 如何한 用度로의 使用은 歡迎될 佛法입니다 ⎈ (부처님의 말씀이 세상 널리 널리 퍼져나가길 기원합니다) 1. 10계명(Dasasikkhāpadaṃ) 2. 3귀의(Saraṇattayaṃ) 3. 대길상경(Maṅgalasuttaṃ) 4. 보석경:보배경(Ratanasuttaṃ) 5. 모든 번뇌의 경(Sabbāsavasuttaṃ) 27/28단락 번역 분석 중 6. 대념처경:알아차림 확립 큰 경(Mahāsatipaṭṭhānasutta) 394/405단락 번역 분석 중 2022. 12. 22.
보석경(보배경)_13번 번역 공부(Sn.234) 2022. 12. 22.
모든 번뇌의 경_27 단락 번역 공부 Bhāvanā pahātabbāsavā(수행함으로써 제거되는 번뇌) 2022. 12. 19.
보석경(보배경)_12번 번역 공부(Sn.233) 2022. 12. 16.
piṇḍapāta와 piṇḍacāra에 대하여 탁발 : 범어로는 piṇḍa-pāta이며 ‘걸식(乞食)·걸행(乞行)’ 등으로도 번역된다. 손에 발우[鉢盂]를 들고 마을을 다니며 승가에 올리는 공양물을 받는 의식을 말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 내용 중 piṇḍapāta는 '걸식, 걸행'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며 piṇḍapāta는 걸행을 통해 얻은 음식을 뜻한다. '걸식, 걸행'은 piṇḍacāra이다. piṇḍa [m.(남성) Vedic piṇḍa; piṣ 와 관련 있는 듯, 즉, 으깨다, 빻다, 덩어리로 만들다;] 1. 덩어리, 공, 진한 (& 둥근) 더미 2. 덩어리 음식, 특히 시주음식, 음식으로 주는 시주 . a lump; a lump of food -cāra 탁발, 걸행 piṇḍāya 탁발을 위하여 -cārika 걸행의 -pāta 탁발.. 2022.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