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𑀤𑁂𑀯𑀸𑀦𑀁𑀧𑀺𑀬𑀲𑀅𑀲𑁄𑀓

by 네줄의 행복 2023. 7. 3.

아소까왕이 없었다면 붓다 사후 오랜 시간 불교가 이어졌을지 의문이다.

불교를 오늘날 있게 만든 인도의 위대한 군주 아소까  "Devānaṃpiyasa Asoka(신들로 부터 사랑받는 아소까)"의 의미를 알아본다.

Asoka -King of Magadha.He was the son of Bindusāra.Bindusāra had sixteen wives who bore him 101 sons.

마가다의 왕 아소까는 빈두사라의 아들이며 빈두사라는 16명의 아내와 101명의 아들들을 두었다.

He is stated in the Mahāvamsa (v.20; Mbv.98) to have killed all his brothers except Tissa that he might accomplish his purpose,and to have been called Candāsoka on account of this outrage

그는 마하왐사에서 왕권을 (왕권 획득)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issa(동복 동생)를 제외한 그의 모든 형제(이복 형제)들을 죽였다. 이러한 난폭한 행동 때문에 ☆Candāsoka(난폭한 아소까) 라고 불렸다.

(형용사) 슬픔이 없는, (남성형 명사) 무우수 나무

띳사. 별, 사람의 이름

Canda 붓다 당시 아인띠의 왕으로 그의 이름은 빳조따였다. 그의 난폭한 성질 때문에 붙여진 별칭이었다.

신의 사랑을 받는 아소까

신의 사랑을 받는 띳사(아소까 시대 스리랑카 왕)

Vāṉavar aṉpaṉ, "신들에게 사랑받는 자"라는 뜻의 초기 타밀어

근대 유럽의 절대군주들이 왕권신수설에서 권력의 정당성을 찾은 것처럼 당시 인도의 왕들도 권력의 정당성을 신의 사랑으로부터 찾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vānaṃpiyasa가 왕권신수설의 원형같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신의 사랑을 받는 자

Brahmi 스크립트

"Devānaṃpiyasa Asoka"

Devā naṃ piya sa Asoka

신들이 그를 사랑하는 그는 아소까

그를 ta의 대상격(Acc.)

사랑받는

Devānaṃpiyasa Asoka

Devā+naṃ+piya + sa + Asoka

𑀤𑁂𑀯𑀸𑀦𑀁𑀧𑀺𑀬𑀲𑀅𑀲𑁄𑀓, 형용사형 어미 -sa 혹은 sa의 임자격(Nom.), Asoka

직역) 신들이 그를 사랑하는 그는 아소까,

의역) 신들의 사랑을 받는 아소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