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첫 번째 동영상 중 Sigāla - Jātaka 낭송 부분을 들어 보면 빠알리어가 얼마나 아름다운 언어인지 알 수 있다. 상좌부 비쿠들의 합송만 듣던 빠알리어가 이런 언어였다니........,
Jātaka(자따까, 본생담, 본생경) - 547개 설화로 구성
붓다의 깨달음과 가르침이 너무 위대하다고 여긴 제자들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후 6년간의 고행만으로는 이토록 장엄한 불변의 진리를 깨달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무수한 과거생에 보살로서 수행해 온 결과라고 믿게 되었고, 무량 겁 동안 수행하면서 사람으로만 태어난 것이 아니라 온갖 동식물로도 태어나서 보살도를 닦은 공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붓다의 전기는 경전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지기도 하지만 《본생경》은 인도 설화를 바탕으로 한 불전문학(佛傳文學)에 속하는 경전의 하나로 쿳다까니까야에는 22편으로 나뉘어 총 547개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 Jātaka (nt.) [janati의 과거분사, Jāta+ka(형용사를 명사로 만드는 접미사), √jan] 본생경, 한자 음역 闍多迦,
∎ janati:[ √jan] 낳다, 생산하다, 원인이 되다.
∎ Jāta (adj.) 태어난, 자란, 생긴, 생산한 (n.) 태어난 사람 혹은 태어난 것;
∎ √jan(낳다, 태어나다), √jan / √jā(낳다, 生起하다, 태어나다)
Nipāta (m.) [Sk.nipāta,ni+pāta,of nipatati] 책의 섹션
No. 113. Siṅgālajātakaṃ(자칼-자따까 게송 부분)
"Saddahāsi siṅgālassa [sigālassa (sī. syā. pī.)], surāpītassa brāhmaṇa;
믿었었다 자칼에게, 술취한 브라만
(술 취한 자칼에게 당신은 속은 것입니다. 브라만! )
Sippikānaṃ sataṃ natthi, kuto kaṃsasatā duve"ti.
100개의 진주 조개가 없다, 어디에도 100개의 동전은 사라졌다.
(100개의 동전은 커녕 어디에도 100개의 조개 껍데기도 없습니다)
siṅgālassa와 surāpītassa가
Saddahāsi를 수식하기에 같은 격을 사용
붓다와 데와닷따( Devadatta )와 관련된 자따까(Jātaka)로 자칼(Sigāla)은 데와닷따였고 나무 정령이 붓다였다.
거짓말하는 자칼이 전생의 데와닷따라는 것을 보면 붓다의 제자들이 얼마나 데와닷따를 싫어했는지 알 수 있다.
[sigālassa (sī. syā. pī.)]는 PTS본
- saddahesi - saddahati의 아오리스트(aor. saddahesi)
- saddahati:[Sk.śrad-dhā] 믿다, 신뢰하다
- sigāla:m.[=siṅgāla,Sk.sṛgāla,śṛgāla] 자칼, jackal ; f.sigālī
- surāpīta (adj.) 술취한, 술마신
- surā (f.)술, 곡주
- pīta [ pivati(마시다)의 과거분사] 마신
- brāhmaṇa (m.) 카스트 브라만 계급의 남자
- sippikā (f.) [fr. sippī] 진주조개
- sata (num.) [Vedic śataṃ] 백, 100, 중성명사로 사용
- natthi 없다, na(부정) + atthi [Sk.asti<as] 있다, 존재하다
- kuto (ind.) [ku의 abL ] 어디에도, 어디로부터 , 왜, 어떻게 해서, kato ci 어디에 있어서도 결코
- kaṃsa (m) 청동, 동, 구리 돈
- sata (num.) [Vedic śataṃ] 백, 100, 중성명사로 사용
- Duve [dvi 의 가짐격(nom.) 복수(pl.)])2, 두 사람, 두 개
- kaṃsasatā duve (황금) 동전 200개
- 문맥상" ~은 커녕 ~도 없다"라는 의미를 이 자따까에서는 대상(황금과 조개)과 갯수(200개와 100개)를 달리하고 있다.
- 오류 수정 부분 및 이유
<아래와 같이 엉터리 번역한 이유는 kaṃsasatā duve"ti.를 kaṃsasatā duveti.로 보았기 때문이다>
- dur(=du=dus) 나쁜, 안좋은, 어려움, 고약한
- veti [vi+eti, of i; Sk. vyeti] 가버리다, 사라지다, 지다
- Duve [dvi 의 가짐격(nom.) 복수(pl.)])2, 두 사람, 두 개
- eti [P. eti represents Sk. eti as well as ā--eti, i. e. to go and to come (here) ] 오다, 가다, 도착하다
- kaṃsasatā du+veti로 해석하면 동전 100개가 사라지다[없어지다](동전 100개는 가버리다)
- kaṃsasatā duve + eti로 해석하면 동전 200개가 오다(동전 200개가 생기기는 커녕)
문맥상" ~은 커녕 ~도 없다"라는 의미를 자따까에서는 대상(황금과 조개)과 갯수(200개와 100개)를 달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kaṃsasatā du+veti로 해석할 수 도 있을 것 같은데 kaṃsasatā duve + eti로 해석하고 있다
데와닷따( Devadatta ) : Sākiyan Suppabuddha의 아들로 붓다의 제자이자 사촌, 아난다의 형이다. Devadatta는 빠알리어와 산스크리트어로는 신이 주신(god-given)이라는 뜻이다. 한역(漢譯)으로는 '제바달다(提婆達多)'라고 한다.
deva (m) 하늘, 신, 천신, 왕, 천황, 폐하 ; (f) devī 여신, 여왕 - Mayadevi(붓다의 어머니)
datta (adj) [dadāti의 과거분사((pp) = dinna] 주어진, 준, 수여한, 선물한
동영상 1. 빠알리어 단어와 Sigāla - Jātaka 주석서 (aṭṭhakathā)
1분 48초부터 Sigāla - Jātaka 주석서 시작
https://youtu.be/gJC6iiQCDkY
아래 네개 그림 파일은 위 동영상 전체 텍스트
[단어, Sigāla - Jātaka 주석서(aṭṭhakathā)]
[113] 3. Siṅgālajātakavaṇṇanā(주석서)
Saddahāsi siṅgālassāti idaṃ satthā veḷuvane viharanto devadattaṃ ārabbha kathesi. Tasmiñhi samaye bhikkhū dhammasabhāyaṃ sannipatitvā ‘‘āvuso, devadattena pañca bhikkhusatāni ādāya gayāsīsaṃ gantvā ‘yaṃ samaṇo gotamo karoti, na so dhammo. Yamahaṃ karomi, ayameva dhammo’ti te bhikkhū attano laddhiṃ gāhāpetvā ṭhānappattaṃ musāvādaṃ katvā saṅghaṃ bhinditvā ekasīmāya dve uposathā katā’’ti devadattassa aguṇakathaṃ kathentā nisīdiṃsu. Satthā āgantvā ‘‘kāya nuttha, bhikkhave, etarahi kathāya sannisinnā’’ti pucchitvā ‘‘imāya nāmā’’ti vutte ‘‘na, bhikkhave, devadatto idāneva musāvādī, pubbepi musāvādīyevā’’ti vatvā atītaṃ āhari.
Atīte bārāṇasiyaṃ brahmadatte rajjaṃ kārente bodhisatto susānavane rukkhadevatā hutvā nibbatti. Tadā bārāṇasiyaṃ nakkhattaṃ ghuṭṭhaṃ ahosi. Manussā ‘‘yakkhabalikammaṃ karomā’’ti tesu tesu caccararacchādiṭṭhānesu macchamaṃsādīni vippakiritvā kapālakesu bahuṃ suraṃ ṭhapayiṃsu. Atheko siṅgālo aḍḍharattasamaye niddhamanena nagaraṃ pavisitvā macchamaṃsaṃ khāditvā suraṃ pivitvā punnāgagacchantaraṃ pavisitvā yāva aruṇuggamanā niddaṃ okkami. So pabujjhitvā ālokaṃ disvā ‘‘idāni nikkhamituṃ na sakkā’’ti maggasamīpaṃ gantvā adissamāno nipajjitvā aññe manusse disvāpi kiñci avatvā ekaṃ brāhmaṇaṃ mukhadhovanatthāya gacchantaṃ disvā cintesi ‘‘brāhmaṇā nāma dhanalolā honti, imaṃ dhanena palobhetvā yathā maṃ upakacchakantare katvā uttarāsaṅgena paṭicchādetvā nagarā nīharati, tathā karissāmī’’ti. So manussabhāsāya ‘‘brāhmaṇā’’ti āha. So nivattitvā ‘‘ko maṃ pakkosatī’’ti āha. ‘‘Ahaṃ, brāhmaṇā’’ti. ‘‘Kiṃkāraṇā’’ti. ‘‘Brāhmaṇa, mayhaṃ dve kahāpaṇasatāni atthi. Sace maṃ upakacchakantare katvā uttarāsaṅgena paṭicchādetvā yathā na koci passati, tathā nagarā nikkhāmetuṃ sakkosi, tuyhaṃ te kahāpaṇe dassāmī’’ti. Brāhmaṇo dhanalobhena ‘‘sādhū’’ti sampaṭicchitvā taṃ tathā katvā ādāya nagarā nikkhamitvā thokaṃ agamāsi. Atha naṃ siṅgālo pucchi ‘‘kataraṭṭhānaṃ, brāhmaṇā’’ti? ‘‘Asukaṃ nāmā’’ti. ‘‘Aññaṃ thokaṃ ṭhānaṃ gacchā’’ti. Evaṃ punappunaṃ vadanto mahāsusānaṃ patvā ‘‘idha maṃ otārehī’’ti āha. Tattha naṃ otāresi. Atha siṅgālo ‘‘tena hi, brāhmaṇa, uttarisāṭakaṃ pattharā’’ti āha. So dhanalobhena ‘‘sādhū’’ti patthari. Atha naṃ ‘‘imaṃ rukkhamūlaṃ khaṇāhī’’ti pathavikhaṇane yojetvā brāhmaṇassa uttarisāṭakaṃ abhiruyha catūsu kaṇṇesu ca majjhe cāti pañcasu ṭhānesu sarīranissandaṃ pātetvā makkhetvā ceva temetvā ca susānavanaṃ pāvisi. Bodhisatto rukkhaviṭape ṭhatvā imaṃ gāthamāha –
동영상 2.
Sigāla - Jātaka 애니메이션( YouTube 자막을 한국어로 바꾸면 한글 자막 볼 수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RgcApFitgJI
자따까 주석서 영어 버전
https://www.sacred-texts.com/bud/j1/j1116.htm
'주전부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자나(pūjana) (0) | 2022.11.27 |
---|---|
진시장에서 자갈치 갈맷길 3-2코스 중 (0) | 2022.11.25 |
유일한 여성인 녹색 따라보살(Tārā-Bodhisattva)과 avalokiteśvara (0) | 2022.11.19 |
목표와 과정 (0) | 2022.11.17 |
붓다가 사랑한 도시 웨살리(바이살리)와 암바빨리 이야기 (2)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