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광수교수(부산 외대)의 인도 이야기에 뿌-자-(pūjā)라는 단어가 나와 pūjā 의식과 큰 축제인 Magha Puja Day에 대해 알아본다.
뿌-자-힌두교도, 불교도, 자이나교도가
1. 신에게 경의를 표하거나 기도를 드리는 행위
2. 손님을 맞이하며 경의를 표하는 행위
3. 종교적 행사를 위한 예배 의식
즉 흔히 절에서 행하는 예불의식과 신도 개인들의 기도행위, 정화수를 떠놓고 기도하는 여인의 행위, 인도, 네팔, 네팔, 티베트 등지에서 방문한 손님들에게 꽃 목걸이를 걸어 주는 행위, 비단 목도리(카타 kata) 를 걸어 주는 행위, 힌두교들이 손 목에 부적팔찌(라-키 rākhī)을 묶어주는 이런 행위 모든 것이 뿌-자- 의식 이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불

북두칠성님에게 기도하는



1. Pūja = pujja
1.(adj.) 존경받을만한, 공양받을 만한, 명예로운, 우러러 볼만한
2. pūjaṃ karoti 경배를 올리다. 경의를 표하다, 예배를 드리다.


2. pūjanā (f.) 공양, 존경

3. pūjā
(f.) 경배, 숭배, 예배, 존경, 존중



4. Māgha Pūjā(마-가 뿌-자-)
남방불교의 기념일로 "Makha Bucha Day, Magha Puja Day, 승가의 날"이라고도 함
태국 음력 2월 말 3월 초 보름날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경배하는 날로 부처님이 마가다의 수도 왕사성의 죽림정사에 계실 때 설법을 듣기 위해 모인 1,250명의 부처님 제자들의 모임을 기념하기 위한 날로 부처님의 가르침과 불교 수행에 대한 존경을 기리기 위해 열린다. 이 날은 수많은 불자들이 사찰을 찾아 명상, 기도, 수행을 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경전을 읽는다.

한국에선 100명의 스님들과 신도들이 모여 법회하는 것도 볼 수 없는데 동영상에 보이는1250명의 스님들과 수 만명의 신도들이 모여 법회를 하면 저절로 신심이 깊어 지겠고 그 기도의 힘으로 긍정의 에너지가 넘처나겠다. 부럽다.
'주전부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haggavisāṇasuttaṃ(코뿔소 뿔의 경)[SN. 51] 17번째 게송 분석 번역 (0) | 2023.08.09 |
---|---|
Kisāgotamī:말라깽이 고따미와 겨자씨 (0) | 2023.08.08 |
고생 많았다 (0) | 2023.08.04 |
탑돌이를 오른쪽으로 하는 까닭은? (0) | 2023.08.03 |
ekāhaṁ jīvitaṁ seyyo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