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여행 정리 : 산치 투파를 닮은 원성왕릉과 주원의 3대에 걸친 복수 이야기
원성왕릉(괘릉) 신라 제38대 원성왕(元聖王), 재위785∼798, 김경신(金敬信) Q .'괘릉' 이름과 관련있는 것은(katamehi ekene)? 1. 물(n. udakena) 2. 불(m. agginā) 3. 바람(m. vātena) 4. 흙(n. bhummena) 삼국사기에 전하는 원성왕의 왕위 계승 정당성 구절 或曰: “卽人君大位, 固非人謀, 今日暴雨, 天其或者不欲立乎? 今上大等, 前王之弟, 德望素高, 有人君之體.” 於是, 衆議翕然, 立之繼位. 旣而雨止, 國人皆呼萬歲. 누군가가 “임금이라는 큰 지위는 실로 사람이 마음대로 할 없는 것인데, 오늘 폭우가 내리니 하늘이 혹시 주원을 왕으로 세우려 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지금의 상대등 경신은 전 임금의 아우로서, 덕망이 높고 임금의 체통을 가졌다”고..
2023. 2. 18.
'코뿔소 뿔의 경' 오류 수정
'eko care khaggavisāṇakappo' 코뿔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1~9번 게송 중 'care' 를 명령형으로 설명했는데 명령형이 아니라 원망형(Opt.)임을 밝힌다. ■ 원망(바램)형 : 원망법은 ‘바램, 요구, 숙고, 추측, 가능, 조건’을 나타내고 ~할 수 있기를 바라면서, ~하기를, ~되기를,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해도 좋다, 해야 한다, 하고 싶다, ~한다면’ 등으로 해석. 원망법- Optative or potential Parassapada(爲他言-능동태) Attanopada(爲自言-反射態/反照態) sg. pl. sg. pl. 1 eyyāmi, -yaṃ e,eyya(ṃ),emi eyyāma(ema,emu) eyyaṃ(e) eyyāmhe emase, emasi 2 e..
2023. 2. 14.
집성제(集聖諦, dukkha-samudaya-ariyasacca) 와 멸성제(滅聖諦, dukkha-niroda-ariyasacca)
"연기(緣起)는 괴로움의 발생구조와 소멸구조이다 - 각묵스님" ◎ 집성제(集聖諦, dukkha-samudaya-ariyasacca) -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 samudaya [saṃ+udaya] 1. 대두, 기원 dukkha° 병의 기원, ariya--sacca 2. 뿜어내는, 광채 (pabhā°) 3. 생산, 수입 집성제(集聖諦)의 집(集)이라는 한자 때문에 오해가 있는 성제(聖諦)가 집성제로 집(集)은 집착이 아니라 괴로움의 모임 즉 괴로움의 원인을 뜻한다. 집성제는 괴로움(고, 苦)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갈애(taṇhā)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갈애는 3가지로 설명된다. ➀ 욕애(慾愛, kāma-taṇhā):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 ➁ 유애(有愛, bhava-taṇhā): 상견(..
2023. 2. 9.